공부/[개발 관련]9 [개발 관련] MVC(Model-View-Controller)디자인 패턴에 대하여 ✏️ Model - View - Controller Design Pattern 여러개의 디자인 패턴 중 MVC디자인 패턴은 iOS앱 개발에 적용되는 디자인 패턴이다. iOS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서 잘 이해해야 하는 개념일 것이다. 여기서 각 요소(모델, 뷰, 컨트롤러)의 역할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구분해야 한다. 그래야 뷰의 재사용과 올바른 데이터 흐름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다. MVC디자인 패턴은 애플리케이션의 객체를 Mode, View, Controller중 하나의 역할로 할당한다. 그럼 각 객체는 해당 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뿐만 아니라, 각 유형간의 통신 방식까지 정의한다. 세 유형의 객체는 추상적인 경계에 의해 다른 유형의 객체와 구분되고, 그 경계를 넘어 다른 유형의 객체.. 2022. 1. 29. [개발 관련] Design pattern(디자인 패턴)에 대하여 ✏️ 프로그래밍 디자인 패턴이란? 프로그래밍 디자인 패턴이란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때 자주 나타나는 패턴을 정형화 해둔 것이다. 좋은 소프트웨어 설계를 위한 개발자들의 경험적 산물이다. “특정한 상황에서 일반적 설계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호 교류하는 수정 가능한 객체와 클래스들에 대한 설명이다.” - GoF “숙련된 객체지향 개발자 및 기타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가이드라인이 되는 일반적인 원칙들과 관용적인 해결책들의 레퍼토리(repertoire)를 구축한다. 패턴은 이러한 원칙들과 관용적 해결책들이 문제와 해결책을 기술하는 구조적인 형태로 체계화되고 명명된 것이다.” - 라만(C.Larman) ✏️ 프로그래밍 디자인 패턴의 특징 경험적으로 얻어진다. 특정한 형식을 가지고있다. 체계적으로 작.. 2022. 1. 29. [개발 관련]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하여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란?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볼 것인지? 이런 관점을 의미하는 것. 그렇다면 객체랄 뭘까? 객체 : 세상에 존재하는 특성과 행위를 가지는 모든 것 기존의 프로그래밍은 여러가지 명령, 그리고 그 순서의 집합이었는데 이 프로그래밍이 생활에 밀접해지며 프로그래밍을 통해 많은 문제들을 구현하게 되면서 세상의 모든 것을 프로그래밍으로 해결하고자 하면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생겨났다. 즉, 세상의 모든 것(객체)를 프로그래밍으로 표현하고, 그 객체들간의 상호작용을 적절히 잘 표현하는 것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으로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어떤 객체를 잘 표현하고 그 객체.. 2022. 1. 15. [개발 관련] Linter에 대하여 📋 Linter에 대하여 어디선가 한번씩 보이는 lint / linter라는말... 뭘까? 정의내리자면, linter는 내 코드를 개선시켜주는 tool 이다. (내 코드를 분석함으로서 내 코드를 개선시켜준다!) linter의 어원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원래 C소스 코드를 분석하는 lint라는 도구가 있었는데 이것 때문인 것 같고, lint뿐만 아니라 이 당시의 여러 utility들이 컴파일러 최적화를 위해 소스코드를 분석했다고 한다. 하지만, 현재에는 linter들은 컴파일러에 국한되지 않고 소스코드 자체를 개선해주는것으로 넓게 사용된다. 오히려 interpreted language들에게는 개발할 때 에러를 발견해주는 컴파일러가 없다는것을 상기해봤을 때 더욱 소중한것 아닐까? 📋 linter를 사용하는.. 2022. 1. 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