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레이아웃2 [iOS] AutoLayout을 코드로 작성하는 기본적인 방법에 대하여 ✏️ Auto Layout 오토레이아웃은 뷰의 제약사항을 바탕으로 모든 뷰의 크기와 위치를 동적으로 계산한다. 쉽게 말해서 어떤 화면, 어떤 상황에서도 같은 ‘비율’로 모든 뷰를 나타낼 수 있다는 정도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코드를 통해, 그리고 인터페이스 빌더에서 GUI를 통해 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어쨌든 두 가지 방법을 다 활용할 줄 알아야한다고 생각한다. 위에서 말 한 제약사항이란 constraints라는 내용으로 Xcode에서 볼 수 있었는데(인터페이스 빌더에서) 이 제약사항들을 기반으로 하여 오토레이아웃을 구현한다고 보면 된다. 그러면 제약사항을 잘 이해하는 것이 오토레이아웃을 잘 구현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해도 될것이다. ✏️ 제약사항 Constraints 제약은 방적식으로 나타내며, .. 2022. 1. 26. [TIL] 220122 - Auto Layout 기본적인 내용 오토레이아웃 뷰의 제약사항(Constraint)을 바탕으로 뷰 체계 내의 모든 뷰의 크기와 위치 동적으로 계산한다. 외부변경과 내부변경에 대하여 동적으로 반응하는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한다. 외부 변경 슈퍼뷰의 크기나 모양이 변경될 때 발생하는 것. 예를 들어서, 분할 뷰(split view), 화면 회전, 다른 크기의 스크린 지원하는 경우 등이 있다. 내부 변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뷰의 크기 또는 설정이 변경될 때 발생하는 것. 예를 들어서 애플리케이션 변경에 의해 컨텐츠가 보여지는 경우나 애플리케이션이 동적 타입을 지원하는 경우 등이 있겠다. 오토레이아웃이 필요한 이유❓ 여러가지 경우가 있겠지만 가장 쉬운 경우는 같은 애플리케이션이 다른 크기의 화면을 가지는 기기에서 모두 유사하게 실행 되고자 할 때.. 2022. 1.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