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5 [iOS] LLDB(Low-Level-Debugger)에 대하여 ✏️ Debugging이란? 디버깅(또는 디버그)이란 프로그램 개발 단계 중에 발생하는 시스템의 논리적인 오류나 비정상적 연산(버그)을 찾아내고 그 원인을 밝히고 수정하는 작업을 말한다. - 위키백과 iOS개발을 위해서는 Xcode라는 IDE(통합 개발환경)을 이용하는데, 이 Xcode에는 디버깅을 위해 LLDB라는 디버거가 내장되어있다고 한다. 우선 LLDB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면 좋을 것 같다. 개발의 효율을 높이는 다양한 방법 중 단연 최고는 디버깅스킬 이라고 한다!👍 -> 버그 발생 원인을 명확하게 알 수 있고, 불필요한 빌드 횟수를 줄여주기도 한다. 규모가 큰 프로젝트의 경우 빌드 횟수를 줄이는 것 자체가 개발 시간을 매우 단축시켜 준다는 것은 당연하다... 2022. 1. 18. 퍼스널 브랜딩에 관하여 공유! 나의 시작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7만원 전자책 지금만 무료배포 - [퍼스널브랜딩 PDF] 솔직해져 봅시다 블로그 수익화를 원하시죠? 블로그 추월차선 전자책은 아래와 같은 고민에서 제작되었습니... blog.naver.com 2022. 1. 17. [Swift] Extension(확장)에 대하여 ✏️ Extension❓ Swift의 Extension이란 이미 존재하는 class, structure, enumeration, protocol 타입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기능이다. Objective-C의 카테고리와 비슷하다는데... Swift의 Extension(확장)은 아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Add computed instance properties and computed type properties (연산 인스턴스 프로퍼티 / 연산 타입 프로퍼티) Define instance methods and type methods (인스턴스 메서드 / 타입 메서드) Provide new initializers (새로운 생성자) Define subscripts (서브스크립트) Define and u.. 2022. 1. 17. [개발 관련]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 대하여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란?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을 어떤 시각으로 바라볼 것인지? 이런 관점을 의미하는 것. 그렇다면 객체랄 뭘까? 객체 : 세상에 존재하는 특성과 행위를 가지는 모든 것 기존의 프로그래밍은 여러가지 명령, 그리고 그 순서의 집합이었는데 이 프로그래밍이 생활에 밀접해지며 프로그래밍을 통해 많은 문제들을 구현하게 되면서 세상의 모든 것을 프로그래밍으로 해결하고자 하면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 생겨났다. 즉, 세상의 모든 것(객체)를 프로그래밍으로 표현하고, 그 객체들간의 상호작용을 적절히 잘 표현하는 것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으로 프로그래밍을 하려면, 어떤 객체를 잘 표현하고 그 객체.. 2022. 1. 15. 이전 1 ··· 5 6 7 8 9 10 11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