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개발 관련]

[ Django(장고)] - 파이썬을 이용한 서버개발 2 - 장고의 기초 : MTV 모델(패턴)

by 인생은아름다워 2021. 6. 10.

Django

안녕하세요! JM입니다.

지난번 장고를 설치하고 나서, 기본적인 튜토리얼을 따라 해 보고 있는데요.

막상 사용하다보니까, 장고가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각각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도 모른 채 무작정 따라 한다는 느낌이 너무 들어서, 구글링... 유튜브.. 등을 통해 간단히 알아보았고, 간단히 기록 겸 남겨두고자 합니다.

 

일반적인 프레임워크에서의 MVC모델 -> 장고는 MTV모델을 이용한다.

사실 같은 내용인데 이름만 바꿔서 표현한 것 같습니다.

우리가 어떠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보통 기능별로 모듈화 시켜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서 기획, 설계, 디자인 등의 일을 한다고 할 때, 우리는 이 세 가지를 독립적으로 구성해야 나중에 셋 중 한 곳에서 문제가 생기거나, 수정할 사항이 생겼을 때 빠르고,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웹 프로젝트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그와 관련된 처리, 제어 로직, 띄워주는 디자인 등이 존재합니다.

보통의 웹 프레임워크에서는 위와 같은 내용을 MVC라는 모델(또는 패턴)을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M : Model - DB related

V : View - 화면(Frontend)

C : Control - 계산, 처리 등의 제어(Backend)

이 처럼 DB관련 업무, 화면처리 관련 업무, 계산(제어)등의 업무를 나눠서 프로젝트를 진행하죠.

 

장고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장고는 이름을 약간 바꾼 것 같습니다.

M : Model - DB related

T : Template - 화면(Frontend)

V : View - 계산, 처리 등의 제어(Backend)

 

음... 이름만 바꾼 게 아니고 이름과 역할을 아주 살.. 짝 바꿨네요.

결론적으로, 따라하다보면 자꾸 보이는 View, Model, Template 등이 이러한 이유로 존재하는 것이었군...이라는 생각을 했습니다.

 

MTV모델 개요

간단하게 위와 같은 개요로 장고가 동작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공부하며 기록해 두면 좋을 것들은 간단하게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