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2 [Git] git/github 브랜치와 push pull관련 내용 📝 git/github 브랜치와 push pull관련 내용 로컬에서 작업할 때 작업 단위로 브랜치를 나눠서 작업하고싶었다… 작업을 항상 로컬의 main브랜치에서 하고있었다. 즉, 내 로컬의 main 브랜치 -> 원격 저장소의 main브랜치로만 작업 후 push하고 있었다.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동시에 여러개의 작업을 진행한다면? 그런데 그 작업은 서로 연관이 없다면? 그래서 브랜치를 나눠서 작업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전에 PR(Pull Request)에 대해서 공부해봤을 때도, 또 결국 한 PR이 한 브랜치라는것을 생각하면, 좋은 PR을 작성하기 위해서라도 적절한 작업단위로 나눠서 브랜치작업을 해 둬야 좋은 PR을 할 수 있을거니까?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git push origin [내가 .. 2022. 1. 14. [Git] Commit message에 대하여 Commit message에 대하여 1. 메세지 작성에 규칙이 필요한 이유 : 협업 우리는 Git/Github을 통해 협업을 진행한다. 즉, 한 프로젝트를 여러명이 접근해서 수정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누군가가 commit을 할 때 개인만 편하게 작성을 한다면, 언젠가 시간이 흐르면 작성자 본인도 알아보기 힘들 것이고, 타인은 당연히 헷갈릴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발자들 끼리 commit message에 일정한 규칙을 두고 진행하는것이 필요하다. 협업자들간 소통 기억에 의존하지 않는 기록 이슈 트래킹 2. 메세지 구조와 규칙 다음과 같은 규칙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커밋 메세지 구조 : -- 헤더 -- 빈 줄 -- 본문 -- 빈 줄 -- 바닥글 헤더 타입 feat : 새로운 기능 추가 fi.. 2022. 1. 5. 이전 1 다음